리빙스턴교 Livingston Bridge
이 다리는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참전한 미 제10군단 소속 리빙스턴 소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한국전쟁이 계속되었던 1951년 6월 10일 인제 지구 전투에 참가한 리빙스턴 소위의 부대가 인제 북방 2km 지점이 현 합강정 부근에 매복하고 있던 적의 기습을 받아 일대 작전중 작전상 후퇴를 위해 이곳 인북천을 도하하려고 할 때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 강물이 범람, 대부분의 부대원이 거센 물살과 적의 사격에 희생되었고 리빙스턴 소위도 중상으로 후송되었으나 끝내는 순직 하였다. 그는 임종 직전 "이 강에 교량이 있었다면 이렇게 많은 부하가 희생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통탄하고 고국에 있는 부인에게 "이곳에 사재를 털어서라도 교량을 가설해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이를 전해 들은 그의 부인에 의해서 1957년 12월 4일 "길이 150m, 폭 3,6m"의 아이빔에 붉은 페인트를 칠한 목재난간의 교량을 가설하였다.(일명 빨간 다리라고도 함) 그 후 교량이 노후화되자 1970년 12월 육군 제207 공병단에 의해 148m 폭 7m의 현재의 콘크리트 교량이 가설되었다. 아직 홀연히 서있는 몇 개의 교각에는 리빙스톤 소위의 자유수호의 투혼과 넋이 서려있어 지나는 이의 발길을 숙연하게 한다.
강원도 인제 리빙스턴교는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은 다리이지만 소양강 줄기에 설치된 한국 역사의 아픔이 있는 곳이다. 강원도 인제를 지나서 원통 방향으로 가다 보면 합강정을 지나서 조금 가다보면 우측으로 건너가는 다리이다. 인제를 지나가는 길이 있다면 리빙스턴교에 들러서 우리의 아픈 역사도 돌아보고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선열께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며 전쟁이라는 비극은 다시는 없어야 한다는 안보의식을 다시 한번 가져보는 기회가 가지시길 바랍니다.
'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엔진 경고등 (0) | 2021.11.01 |
---|---|
컴퓨터 자판에서 영어→한글 변환이 안될때 (0) | 2021.10.29 |
군대 보낸 아들 군인 요금제 군인요금제 가입서류 (1) | 2021.10.28 |
양평 양수리 전통 오일장 풍경 (0) | 2021.10.28 |
칼봉산 자락을 시원하게 나르는 가평 브릿지 짚라인 (0) | 2021.10.27 |